본문 바로가기
온갖 도전기

[온갖도전기] 필기시험 내용정리1 - 무인멀티콥터 운용

by 못나는참새 2021. 7. 22.
728x90

* 시험에 출제될 확률이 높은 부분만 다루겠습니다

 

 

무인항공기의 분류

 

1. 무인항공기 형태에 따른 분류

  1) 고정익(Fixed Wing) 무인항공기 : 고정 날개를 가진 무인항공기. 비행시간이 길어 장거리, 장시간 임무에 적합.

  2) 회전익(Rotary Wing) 무인항공기 : 헬리콥터형 무인항공기. 수직이착륙이 가능하여 산악지형에서 유리.

  3) 가변로터형(Tilt-Rotor) 무인항공기 : 고정익과 회전익의 융합형. 수직이륙 후 로터를 앞으로 회전시켜 추력을 얻는다.

  4) 동축반전형(Co-Axial) 무인항공기 : 하나의 축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로터를 달아 토크를 상쇄시킨다.

  5) 멀티콥터형(Multi-Copter) 무인항공기 : 3개 이상의 다중 로터를 장착한 무인항공기. 비행시간이 짧음.

 

드론의 기종별 구조와 구성

1. 무인헬리콥터

  1) 꼬리날개가 있는 이유

  - 헬기의 주 날개(메인로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용반작용에 따라 몸체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꼬리날개로 반작용을 상쇄시킨다.(토크상쇄)

  헬기의 몸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면 꼬리날개의 출력을 감소시키면 반작용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반대로 꼬리날개의 출력을 증가시키면 반작용을 넘어서는 출력으로 오히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2.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