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0 [기계공학]유체역학 - 강체 운동 중인 유체1 음..... 이걸 어떻게 쉽게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내용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중요하니 설명드려야겠죠 수식이 많고 복잡하고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많을거라 예상해요 최대한 쉽게, 설명이 길어져서 포스팅을 여러개 하더라도 알려드릴게요 강체 운동중인 유체? 먼저, 제목은 이해하셨나요? '강체'는 유체와 반대되는 말이에요 쉽게말해서 고체입니다. 그런데 유체가, 흘러다니는 물체가 고체운동중이다? 여러분이 커피를 들고 차를 탔다고 생각해보세요 차가 출발하고 정지할 때는 커피가 출-렁 거리면서 흔들릴거에요 하지만 일정한 속력으로 이동하고 있을때, 커피가 흔들리나요? 아니죠 마치 그 상태로 굳은 것처럼, '고체가 된 것처럼' 움직이지 않아요 그 상태를 강체 운동 중인 유체 라고 말합니다 체적력과 표면력 유체요소에.. 2021. 6. 20. [기구설계실무] 설계직무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좀 본질적인 얘기를 해보려고해요 설계직에 대해 알려드리려구요 사실 가장 먼저 했어야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은데 그걸 놓쳤네요 제가 설계직을 준비하면서 궁금했던것들, 실무를 하면서 느낀것들 기타 등등 그런것들을 알려드릴게요 궁금한게 있으면 댓글달아주시면 성실히 대답해드리겠습니다 기구설계? 기계설계? 기계설계와 기구설계를 구분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소서를 쓸 때도 혼동하거나 혼용하시는 분들도 많죠 그 차이를 아시려면 기구와 기계의 차이를 알아야합니다 기계는 '공급된 에너지를 사용해 사람 대신 일을 하는 도구'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는 기계죠 기름만 넣어주면 사람대신 달리니까요 기구는 기계를 구성하는 기계요소간의 운동관계? 정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있는 .. 2021. 6. 20. [기계공학] 유체역학 - 다중마노미터 (+ 공식유도 꿀팁) 제가 저번 포스팅에서 사실 마노미터에는 하나가 더 있다고 말씀드렸죠? 오늘은 그 하나를 해볼거에요 바로 다중마노미터! 말 그대로 U자관이 여러개 있는거에요ㅎㅎ 미지의 유체가 하나만 있으면 섭섭하니까요ㅎㅎㅎ 하지만 걱정하실필요는 없어요 식은 복잡해지지 않고 단지 한단계가 더 있을 뿐이니까요 저번에 썼던 원리, 식, 방식 다 똑같이 쓸거에요! 자 일단 그림부터 설명해드릴게요 (네 알아요 겁먹으신거ㅎ) ㄹ자 관이 부착된 통 안에 3가지의 유체가 들어있어요 점A와 점1 사이, 점1과 점2 사이, 점2와 점B사이 각 유체의 밀도를 ρ1, ρ2, ρ3 라고 할게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거! 점A는 밀폐된 공간안에 있고 점B는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어요 따라서 점B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지만 점A에는 그렇지 않아요 이건 분명.. 2021. 6. 16. [기구설계실무] 솔리드웍스에서 캐드로 파일 넘기기 기구설계 또는 기계설계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자신이 쓰는 툴, 즉 3D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합니다. 특히 각 프로그램의 버전, 타 프로그램과의 호환이 가장 중요합니다 높은 버전에서 작성된 파일은 하위버전에서 열리지 않고, 호환이 되지않는 파일은 열어볼 수 조차 없어요 미래의 설계직무를 맡을 여러분을 위해 최대한 쉽고 빠르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왜 프로그램을 두개를 쓰는거죠? 하나로 하면 안되나요? 대부분의 기구설계는 3D로 외형을 만들고, 수정사항을 반영합니다 그렇게 3D모델링이 완료되면 문서화를 위해 도면작업을 시작하죠 물론, 흔히 사용하는 3D프로그램 솔리드웍스, 인벤터, 카티아 에서도 도면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만 오토캐드는 도면작업만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대부분.. 2021. 6. 1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