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구설계실무/연구개발 프로세스8

2. 요구사항검토 요구사항검토는 가장 이해하기 쉬운 단계입니다 말 그대로 고객사가 뭘 원하는지, 자사가 뭘 위해서 개발을 시작하는지 요구되는게 무엇이고 어디에 포커스를 맞춰야하는지 알아보는 단계거든요 근데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요구사항은 여러가지 형태로 전달이 됩니다 개발착수단계에서 kick-off회의를 하며 대면으로 전달되는 경우도 있고 추후에 메일로 요구사항명세서가 전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근데 일방적으로 통보되는건 아니에요 이미 개발착수전에 충분히 요구사항에 대한 검토는 끝냈을거고 '가능하다'라고 판단을 내렸으니 개발착수에 들어간거겠죠 그래서 개발자/연구원들이 개발착수단계부터 반드시 회의에 참석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가능한지 아닌지는 사업부가 아니라 연구소에서 결정하는거거든요 요구사항명세서 요구사항이 .. 2022. 12. 25.
1. 개발착수단계 * 회사마다 직무마다 다르니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 먼저 개발착수단계부터 시작해볼까요 개발착수단계는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사업을 따와서 고객사가 요청한대로 개발을 하거나 자체적으로 개발을 하거나 자체적으로 개발한다면 서류같은거야 뭐 편의상 몇개 건너뛸수는 있겠죠 하지만 고객사의 요청으로 개발을 한다면 중간산출물을 다 만들어놓는게 좋습니다 당연한거기도하구요 하지만 이건 PM, 즉 프로젝트담당자가 작성하게 되어있습니다 신입으로 들어가면 이런게 있구나 이럴때 쓰는거구나 이렇게 보는거구나 정도만 알고계시고 나~중에 경력이 쌓이고 프로젝트를 담당하게 되면 그때 이전에 작성해놨던걸 참고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근데 PM이 하라고 시키면 해야지 뭐 어쩌겠어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2022. 12. 24.
개발프로세스 오랜만에 실무 포스팅이네요 어떤걸 알려드려야할까... 하다가 취준생 입장에서는 알기 어려운 그런 정보들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실제 업무는 어떻게 진행이 되는지, 신제품은 어떻게 개발되는지 그런거요 물론 당연히 회사마다, 부서마다, 직군에 따라 그 과정과 정도의 차이는 있으니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연구개발 프로세스 개발과정은 아마 비슷할거라 생각합니다 개발착수 > 요구사항검토 > 기본설계 > 상세설계 > 프로토타입 제작 > 시험평가 > 개발완료 순으로 개발이 진행됩니다 회사마다, 업종마다 추가되거나 생략되는 과정이 있으니 전체적인 흐름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각각의 단계에는 해당 단계에서 나와야할 문서들이 있습니다 개발착수 단계에서는 개발계획서가 있어야하고 설계단계에서는 도면이 나와야하고 시험단계에서는 성적.. 2022. 12. 19.
[기구설계실무] 설계직무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좀 본질적인 얘기를 해보려고해요 설계직에 대해 알려드리려구요 사실 가장 먼저 했어야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은데 그걸 놓쳤네요 제가 설계직을 준비하면서 궁금했던것들, 실무를 하면서 느낀것들 기타 등등 그런것들을 알려드릴게요 궁금한게 있으면 댓글달아주시면 성실히 대답해드리겠습니다 기구설계? 기계설계? 기계설계와 기구설계를 구분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소서를 쓸 때도 혼동하거나 혼용하시는 분들도 많죠 그 차이를 아시려면 기구와 기계의 차이를 알아야합니다 기계는 '공급된 에너지를 사용해 사람 대신 일을 하는 도구'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는 기계죠 기름만 넣어주면 사람대신 달리니까요 기구는 기계를 구성하는 기계요소간의 운동관계? 정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있는 .. 2021.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