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

[온갖도전기] 철인2종 도전기-2 2022.08 1, 2주차 철인2종을 한번에 연습할수는 없으니 일단 기초체력을 다시 다듬기로 했습니다 장거리대회인만큼 페이스조절이 중요할테니 일단 제 체력을 알아보고 전략을 짜야했거든요 이틀간격으로 5km내외로 뛰어봤는데 페이스가 대체로 6'00''/km 초반에 있더라구요 5km 뛰는데 30분, 10km에 1시간, 그럼 경기시간이 3시간반이니까 40km를 2시간안에 달리면 딱 완주할 수 있겠다! 싶었는데 2시간 20분내에 들어오지않으면 컷오프가 되네요.... 바꿈터에서 바꾸는 시간도 계산하면, 그리고 사이클 이후 10km는 체력이 빠진 상태에서 한다는걸 감안하면 페이스를 올려서 시간을 최대한 확보해놓아야겠습니다 페이스 올리기 훈련시작합니다! 2022. 12. 5.
[온갖도전기] 철인2종 도전기-1 책상에 오래앉아서 야근반복하다보니 체력도 안좋아지는게 느껴지고 너무 우울해져서 이대로는 안되겠다 생각하고 운동을 해보기로했습니다 기왕할거 제대로 해야겠다 생각하고 대회가 있으면 출전을 목표로 해보려고했는데 찾아보니 이런게 있더군요 듀애슬론, 철인2종 경기였습니다 철인3종도 아니고 2종? 흔히들 알고계신건 트라이애슬론, 즉 철인3종인데 여러가지 규격(거리)이 있지만 올림픽코스라고 불리는 표준코스는 수영1.5km, 사이클40km, 마라톤10km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여기서 수영대신 마라톤5km으로 대체하면 철인2종이 되는거죠 수영을 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이렇게한다고 하더라구요 암튼 이걸로 결정! 바로 신청! 목표를 이걸로 정할 당시에는 8월달이라 11월에 출전하기로 결정! 이전부터 러닝은 조금씩 했어서 마라.. 2022. 12. 2.
[온갖도전기] 필기시험 내용정리1 - 무인멀티콥터 운용 * 시험에 출제될 확률이 높은 부분만 다루겠습니다 무인항공기의 분류 1. 무인항공기 형태에 따른 분류 1) 고정익(Fixed Wing) 무인항공기 : 고정 날개를 가진 무인항공기. 비행시간이 길어 장거리, 장시간 임무에 적합. 2) 회전익(Rotary Wing) 무인항공기 : 헬리콥터형 무인항공기. 수직이착륙이 가능하여 산악지형에서 유리. 3) 가변로터형(Tilt-Rotor) 무인항공기 : 고정익과 회전익의 융합형. 수직이륙 후 로터를 앞으로 회전시켜 추력을 얻는다. 4) 동축반전형(Co-Axial) 무인항공기 : 하나의 축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로터를 달아 토크를 상쇄시킨다. 5) 멀티콥터형(Multi-Copter) 무인항공기 : 3개 이상의 다중 로터를 장착한 무인항공기. 비행시간이 짧음.. 2021. 7. 22.
[온갖도전기]드론 자격증? 없으면 불법! 다들 드론 많이 보셨죠?? 몇년전주터 갑자기 인기가 생기기 시작했어요 장난감부터 촬영용, 사업용, 군용까지! 그런데 원래 드론을 조종하려면 자격증이 필요하다는거 알고계셨나요?? 21년 1월달부터 항공법이 적용되어서 자격증없이 드론을 날리는건 불법! 항공법 위반이에요! 마침 제가 드론 자격증을 따고있어서 정보를 공유하고자 포스팅을 쓰기로했습니다! 드론 자격증? 사실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드론은 '무인 멀티콥터'라는 정식명칭이 있어요 그럼 드론은? 무인항공기 전체를 아우르는 말이에요 무인헬리콥터, 무인정찰기, 무인멀티콥터 등을 모두 포함해요 그래서 드론자격증의 정식명칭은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격증" 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편의상 무인멀티콥터를 드론이라고 표현할게요 자격증 분류 운전면허도 1종 2.. 2021. 7. 7.
[기계공학] 유체역학 - 레이놀즈 수송정리(RTT) 오늘 알려드릴 내용은 유체역학에서 절대 빠질수없는 내용이에요 레이놀즈 수송정리! 영어로는 Reynolds Transport Theorem, 줄여서 RTT라고합니다 사전지식! Euler해석방법, Lagrange해석방법 RTT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전지식이 필요해요 검사체적(Control Volume)과 시스템(System)에 대한 용어를 알아야 하거든요 우리가 어떤 현상이나 물체를 해석할 때, 일정한 질량을 가지는 물체를 가정하고 해석을 진행할 때가 있어요 예를 들면, 질량이 1kg인 공모양 물체를 가정하는것처럼요 공이 굴러가던, 정지해있던 우리는 공만 생각해요 이 공을 검사체적(Control Volume)이라고 하고 이 해석방법을 Euler해석방법 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설정한 그 공간에만 관.. 2021. 7. 4.
[기계공학] 유체역학 - 강체 운동 중인 유체3 강체운동중인 유체 대망의 마지막 파트입니다! 여기까지 오시느라 고생하셨어요 오늘은 공식유도는 없어요 여태 힘들게 유도한 식이 어떻게 쓰이는지를 알아볼거에요 일단 저번에 유도한 식을 다시 보여드릴게요 여기서 a는 가속도의 각 방향별 성분이에요 시작해볼게요 1. 유체가 정지해있을 때, 등속도 운동을 할 때 유체가 정지해있다는건 움직이지않는다 즉, 어느 방향으로도 가속되고있지 않다는 뜻이에요 그말은 라는 소리죠! 이걸 맨 윗 식에 대입해보면 이 식은 '유체가 정지상태에 있다면 유체의 압력은 수평방향으로는 일정하고, 중력의 영향으로 수직방향으로만 변한다' 라는 의미를 가져요 2. 유체가 자유낙하할 때 유체가 자유낙하를 한다! 이 말은 유체가 중력가속도만을 받는다! 라는 뜻이에요 중력은 항상 아래로 작용하니 가 .. 2021. 6. 22.
[기계공학]유체역학 - 강체운동중인 유체2 네 두번째 시간입니다 강체운동중인 유체 1편은 다 이해하고 오셨을거라 믿어요 일단 아직 설명할게 있으니 다시 사진을 갖고올게요 자, 저번 포스팅이 각 방향의 순수표면력을 구하는데서 마무리 됐었죠? 각 방향별 순수 표면력은 다음과 같았어요 이어서 계속해볼게요 각 방향별 순수표면력이 구해졌으니 전체 총 표면력을 구해야해요 이렇게 표현될 수 있어요 잠깐! 처음보는 기호가 마구 나오기 시작했죠? 먼저, 이 화살표 기호는 방향벡터 라고해요 i, j, k는 각각 x, y, z방향을 나타내는데 그 각각의 벡터크기는 모두 1이에요 단위벡터인 셈이죠 그래서 저렇게 곱해놓으면 그 크기는 변하지않지만 (1을 곱한거니까요) 방향성만 가지게 되는거에요 그리고 두번째, 이 기호는 델(del)이라고 하는 기호인데 이런 관계식을 가.. 2021. 6. 21.
[온갖도전기] 다이소 식물키우기 5탄! 다이소 식물키우기가 돌아왔습니다! 원래는 일주일마다 경과를 보고드리려고했지만! 큰 변화도 없는데 너무 잦은 포스팅인 것 같아 격주마다 하기로했어요 그래서 오늘은 대파와 깻잎을 심은지 7주째! 바로 결과를 보여드리죠 엄청많이자랐죠? 근데 화분이 커야하나봐요 분갈이를 하면서 깻잎 묘목들(?)을 하나씩 옮겨심었는데 다 죽었어요ㅠㅠ 솎아내기도 전에 솎아졌어... 그래서 이제는 저만한 화분을 하나 더 사서! 대파하나, 깻잎하나 그렇게 진행하려고 해요! 역시 식물재배는 어렵군요,,, 깻잎이 이제서야 사먹는 형태와 크기가 나오기 시작했어요 한 3달쯤에는 정말 쌈 싸먹어도 될거같아요 대파는....어... 조금만 더 키워볼게요ㅎ 2021. 6. 21.
[기계공학]유체역학 - 강체 운동 중인 유체1 음..... 이걸 어떻게 쉽게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내용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중요하니 설명드려야겠죠 수식이 많고 복잡하고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많을거라 예상해요 최대한 쉽게, 설명이 길어져서 포스팅을 여러개 하더라도 알려드릴게요 강체 운동중인 유체? 먼저, 제목은 이해하셨나요? '강체'는 유체와 반대되는 말이에요 쉽게말해서 고체입니다. 그런데 유체가, 흘러다니는 물체가 고체운동중이다? 여러분이 커피를 들고 차를 탔다고 생각해보세요 차가 출발하고 정지할 때는 커피가 출-렁 거리면서 흔들릴거에요 하지만 일정한 속력으로 이동하고 있을때, 커피가 흔들리나요? 아니죠 마치 그 상태로 굳은 것처럼, '고체가 된 것처럼' 움직이지 않아요 그 상태를 강체 운동 중인 유체 라고 말합니다 체적력과 표면력 유체요소에.. 2021.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