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

[기구설계실무] 설계직무에 대하여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좀 본질적인 얘기를 해보려고해요 설계직에 대해 알려드리려구요 사실 가장 먼저 했어야하는 부분이 아닌가 싶은데 그걸 놓쳤네요 제가 설계직을 준비하면서 궁금했던것들, 실무를 하면서 느낀것들 기타 등등 그런것들을 알려드릴게요 궁금한게 있으면 댓글달아주시면 성실히 대답해드리겠습니다 기구설계? 기계설계? 기계설계와 기구설계를 구분하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자소서를 쓸 때도 혼동하거나 혼용하시는 분들도 많죠 그 차이를 아시려면 기구와 기계의 차이를 알아야합니다 기계는 '공급된 에너지를 사용해 사람 대신 일을 하는 도구' 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는 기계죠 기름만 넣어주면 사람대신 달리니까요 기구는 기계를 구성하는 기계요소간의 운동관계? 정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있는 .. 2021. 6. 20.
[기계공학] 유체역학 - 다중마노미터 (+ 공식유도 꿀팁) 제가 저번 포스팅에서 사실 마노미터에는 하나가 더 있다고 말씀드렸죠? 오늘은 그 하나를 해볼거에요 바로 다중마노미터! 말 그대로 U자관이 여러개 있는거에요ㅎㅎ 미지의 유체가 하나만 있으면 섭섭하니까요ㅎㅎㅎ 하지만 걱정하실필요는 없어요 식은 복잡해지지 않고 단지 한단계가 더 있을 뿐이니까요 저번에 썼던 원리, 식, 방식 다 똑같이 쓸거에요! 자 일단 그림부터 설명해드릴게요 (네 알아요 겁먹으신거ㅎ) ㄹ자 관이 부착된 통 안에 3가지의 유체가 들어있어요 점A와 점1 사이, 점1과 점2 사이, 점2와 점B사이 각 유체의 밀도를 ρ1, ρ2, ρ3 라고 할게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거! 점A는 밀폐된 공간안에 있고 점B는 대기중에 노출되어 있어요 따라서 점B에는 대기압이 작용하지만 점A에는 그렇지 않아요 이건 분명.. 2021. 6. 16.
[기구설계실무] 솔리드웍스에서 캐드로 파일 넘기기 기구설계 또는 기계설계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자신이 쓰는 툴, 즉 3D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합니다. 특히 각 프로그램의 버전, 타 프로그램과의 호환이 가장 중요합니다 높은 버전에서 작성된 파일은 하위버전에서 열리지 않고, 호환이 되지않는 파일은 열어볼 수 조차 없어요 미래의 설계직무를 맡을 여러분을 위해 최대한 쉽고 빠르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왜 프로그램을 두개를 쓰는거죠? 하나로 하면 안되나요? 대부분의 기구설계는 3D로 외형을 만들고, 수정사항을 반영합니다 그렇게 3D모델링이 완료되면 문서화를 위해 도면작업을 시작하죠 물론, 흔히 사용하는 3D프로그램 솔리드웍스, 인벤터, 카티아 에서도 도면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만 오토캐드는 도면작업만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대부분.. 2021. 6. 15.
[기계공학] 기계공학제도 - 3각법과 1각법, 그 차이 오늘은 3각법과 1각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 이론만 가득가득 써놓으면 보기도 어렵고 이해도 안가니 직접! 작성해서 보여드릴게요 우선 투상도를 만들 도형을 임의로 그릴게요 이게 뭐냐고 묻지마세요 저도 몰라요ㅋㅋㅋㅋㅋ 그냥 손 가는대로 만들었어요ㅋㅋㅋㅋㅋㅋ 이제 도면작성을 하러 가볼까요? 3각법 3각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투상법이에요 물체를 잘 파악할 수 있도록 도면을 그리는데 보통 정면, 평면, 우측면 세 뷰를 잡고 그리는게 일반적이에요 물론 실제로 더 복잡하게 생긴 물체를 표현해야할 때는 배면도, 좌측면도 모두 사용하거나 부분투상, 부분절단 등을 이용하기도 해요 아무튼 표준3도는 위와같다는거! 쉽죠? 1각법 네 1각법이구요 표준3도입니다 뭔가 이상하죠? 분명 같은 모델로 그렸는데 어딘가 이상해요.. 2021. 6. 14.
[온갖 도전기] 다이소 식물키우기 4탄 다이소 식물키우기가 돌아왔습니다 일주일에 하나씩 쓰려구요ㅋㅋㅋㅋㅋ 다이소에서 대파와 깻잎을 사서 심은지가 어언 5주전.... 네.. 벌써 5주나 되었더라구요 바로 보여드릴게요! 엄청 많이 자라지 않았나요?? 근데 이제 슬슬 문제점이 보이기 시작했어요 깻잎이 자라는건 너무 잘자라는데 아예 빛을 못보는게 생기기 시작했어요ㅠㅠ 저기 쪼마난 아이 보이시죠... 네... 비록 화분은 작지만! 잘 자라주기를 바랬지만! 이제 솎아줘야할거같아요 포기할건 포기하고! 잘 자라는거만 골라서! 그리고 대파들을 좀 간격을 띄워줘야 제대로 자랄거같아요 음.... 대파를 따로 심고 깻잎을 큰 화분에 다 담을까요?? 고민이네요 조만간... 아마도 다음주안에! 해야겠어요 더이상 화분을 늘리기에는 힘들거에요..ㅎ 계속 올리겠습니다! 2021. 6. 13.
[기계공학] 유체역학 - 마노미터 오늘은 좀 쉬울수도 있어요 마노미터! 고등학생때 물리공부 좀 하셨다면 분명 들어보셨을거에요 이렇게 생긴거! 보신적있죠? 오늘은 이걸 할거에요~ 그래도 다른거보다는 거부감이 덜하죠? 좋아요 바로 시작할게요 먼저 U자 관 안에 들어있는 유체를 밀도 ρ라고 할게요 유체의 표면 A와 B에서의 압력은 각각 이에요 왜냐면 맞닿은 상태로 정지해있거든요 그리고 표면A와 B는 h의 높이차이가 있어요 즉, h만큼의 압력차이가 존재한다는 뜻이에요 이때 압력이 더 높은 쪽은 당연히 A에요 이해가 쉽게 설명드릴게요 A와 B가 서로 압력이 같다면 두 표면이 수평관계를 이루겠죠? 그런데 보시면 A쪽이 더 밑으로 내려가있어요 이 말은, A쪽에서 무언가가 이 유체를 눌렀다는 거에요 압력이 가해졌다는 소리죠 이해되셨나요? 자 다시 돌아.. 2021. 6. 10.
[기계공학] 유체역학 - 모세관에서 상승하는 높이 구하기 네 오늘은 모세관 현상에 대해 알아볼겁니다 모세관 현상이 뭔지는 설명하지 않아도... 되겠죠...? 그럼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요 정지해있는 잔잔한 유체의 표면에 모세관을 꽃았다고 가정해요 하늘색으로 빗금쳐져있는 수조에 가느다란 모세관을 넣었다고 가정한 그림이에요 어떤 형태인지 이해하셨을거라 생각하고 이제 식을 도출해야하니 변수를 넣을게요 나머지 부분은 관심없어요 모세관을 타고 올라간 유체의 높이h만큼! 딱 저만큼의 유체에만 관심이 있어요 R은 모세관의 반지름, θ는 유체와 모세관의 접촉각이에요 모세관과 닿은 유체의 접선과 모세관의 각도라고 보는게 이해가 더 쉬울거에요 자... 이제 식을 도출해볼까요.. 우리의 목표는 저 높이 h를 구하는거에요 자, 우선 모세관안의 유체가 일정높이만큼 올라간 상태로 정지.. 2021. 6. 9.
[기계공학] 유체역학 - 점성, 두 평행판 사이의 유체 오늘은 '점성'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먼저 점성이 뭔지 설명을 해야겠죠 유체는 기체와 액체를 모두 포함한다고 저번 포스팅에서 알려드렸어요 그래서 공기와 물로 예시를 들어드릴게요 공기 중에서와 물 속에서 손을 휘저어본다고 생각해보세요 어느 쪽이 더 쉬울까요? 그쵸 공기중이 훨씬 쉽죠 물의 저항때문이다~ 라고 설명하지 않아도 다들 알고계실거에요 네, 바로 그거에요 운동에 대항하는 유체의 내부 저항, 그걸 바로 점성이라고 불러요 정확히는 유체의 내부 저항 또는 유동성을 나타내는 상태량을 점성(Viscocity)이라고 해요 여기까지는 중고등학생과정이고 저희는 더 깊게 들어가야겠죠? 점성에 대한 관계식을 도출하러 가봅시다 두 평행판 사이를 흐르는 유체가 있다고 가정합시다 아래판은 정지해있고 윗판은 속도 v로 오른쪽.. 2021. 6. 7.
[기계공학]기계공학제도 - 선의 종류, 용도 기계제도에서 사용되는 선에는 색상, 용도에 따라 약 15가지 정도가 있어요 그 중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4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예시를 보여드릴테니 참고하시면 더 도움이 되실거에요 KS규격 A0109번호 명칭 형태 설명 01 실선 일반적인 선분 02 파선 (점선과 다릅니다!) 짧은 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08 1점 쇄선 짧고 긴 선이 번갈아 반복 09 2점 쇄선 짧은 선 두개와 긴 선이 번갈아 반복 또 선은 용도에 따라 그 종류랑 굵기가 구분돼요 선의 종류 명칭 용도 굵은 실선 실제로 보이는 물체의 외형선 가는 실선 1. 치수선 2. 치수 보조선 및 연장선 3. 지시선 4. 해칭 5. 짧은 중심선 지그재그 실선 파단선 가는 파선 숨은선(보이지 않는 물체의 윤곽) 굵은 1점 쇄선 특수 지정선 가는 1점 쇄선.. 2021. 6. 7.
반응형